강향수 전남본부장 “27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이 가결 정족수에 10표 부족한 139표의 찬성으로 가까스로 부결” 찬성 139, 반대 138, 기권·무효 20 체포동의안에 30표 넘는 '이탈표'가 나왔다. 헌정사상 초유 상황으로 치달은 국회에서 내년 4월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당 당원들의 현역에 대한 불신으로 대폭 물갈이가 거세 질 전망이다. 당초 "압도적 부결"을 호언했던 민주당은 일부 의원들의 찬성표를 던진 결과로 분당(分黨)' 상태가 앞 당겨질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낙연 계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 광주.전남 의 다수 의원들의 찬, 반 색출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원들의 77.77%지지로 당 대표로 선출된 이재명 대표의 이번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결과에 당원들의 의사에 반하는 이낙연 계가 똘똘 뭉친 결과라는 반증이기도 하다는 분석이다.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절해 가는 국회의원들의 퇴행의 모습에 정치혐오증, 불신, 분열이 한층 더 거세 질 모양새다. 더불어 민주당 분열로 김건희 특검도 물 건너 간 것으로 보여 진다.
림삼 / 칼럼니스트. 작가. 시인 詩作NOTE - 올커니, 목하 춘삼월이 열리었구나. 기나 긴 겨울의 질곡이 꿈인 양 스러지더니 어느새 따사한 햇살이 누리에 그득하다. 유별나게 극성스레 몽니 부리던 혹한의 세월이 봄눈 녹듯 꼬리 감추고, 바야흐로 소망과 생동의 계절이 이윽히 우리에게 도래했음이다. 누구라도 이맘 때라면 희망의 노래 한 소절 쯤을, 미래를 향한 흰소리 몇 마디 쯤을, 무언가 꼭 이룰 것 같은 기대에 젖어 목청 높여 볼 만도 한, 그런 계절인 것이다. 지금은, 지금이라면... 자주 오르는 산인데도 확실히 얼마 전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렷다. 필경 똑같은 자리지만 똑같지 않은 느낌으로 철푸덕 주저앉아 나를 반긴다. 전체적으로 파란 옷을 갈아입을 준비는 이미 마친 듯 하고, 숨어있는 바람의 숨결 소리나 움트는 초목들의 기운이, 산길 오르는 오솔목마다 진한 향기 품어 나에게 손짓한다. 이런 기운을 오롯이 받아 온 몸에 쌓으려고 오르는 산이니, 기꺼운 마음 되어 크게 호흡하면서, 오늘도 힘차게 걸음 내딛는다. 이제부터 하산할 때까지는 이 산과 나는 하나가 된다. 같은 생각으로 함께 숨 쉬며, 세상을 향한 온갖 감상과 감정들을 한 데 모아, 골고루 뒤섞어
림삼 / 칼럼니스트. 작가. 시인 詩作NOTE - 계묘년이 시작되더니 훌쩍 달려가면서 한 달 하고도 보름을 지워버렸다. 참 빠르기도 하지. 아직 새 해 계획도 채 못 세웠는데. 설 연휴까지 중간에 끼어있는 통에 올 1월은 정말 겅중거라다가 맥 없이 보내버리더니 2월 또한 대책 없이 허비하고 만 셈이다. 이제부터라도 얼른 정신 바짝 차리고 본격적인 한 해의 살림살이에 착수해야겠다. 제대로 정리도 안 되는 상태로 허송세월을 보낼 수는 없는 노릇 아니겠는가? 이제 곧 3월이 오고, 새 봄도 찾아줄테고, 그러다보면 1분기를 거쳐 상반기가 빠르게 지나칠테니 말이다. 예전의 시들을 훑어보다가 ‘림삼 제 7시집’이었던 ‘구름에 달처럼 살아가는 이야기’에 문득 눈이 갔다. 시라고 하는 것이 대부분 지을 무렵의 생활 여건이나 마음의 상태 등이 그대로 투영되게 마련인데, 그래서 그런지 이 시집에는 유난히도 뻑뻑한 삶의 모습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아마도 당시에 크게 사업의 실패를 보고 후미진 어느 고시원에 고단한 삶을 의탁하면서, 닥치는대로 하루살이의 일상을 견디어내던 실상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물들이 아닌가 한다. 예컨대 일기나 생활수기 정도의 개념이라고도 할 수도 있겠다.
체험농장 운영 불우이웃 초대 무료딸기 시음 및 한 아름 가져가기 체험 행사 가져. [today news-강향수 본부장] 지난 22일 보성군 벌교읍 마동리 소재 1300여 평의 최첨단 스마트팜 체험 농장을 운영하는 김재훈(33)대표는 인구절벽의 시대에 벌교를 딸기혁신의 농촌으로 최고품종과 안전한 먹거리를 창출해 젊은 청년들의 귀농을 유도해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획기적인 인구증가에도 최선을 다해 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이날 “사랑 뜰 아동그룹홈 식구 20여명”을 초청해 무료딸기 체험과 쌀200여kg을 지원하는 행사도 가져 훈훈함을 더했다. 이날 행사에는 보성군의회 전상호 군의원도 참석 “행정도움을 받지 않고도 자립으로 스마트팜 농장을 개척 운영 하는 열정에 놀라움을 표하며, 최첨단 기술과 봉사정신을 발휘하는 김대표에게 많은 것을 본 받아, 앞으로 행정에서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겠다“ 고 말했다
@ 강진원 강진군수 - 강진원 강진군수님을 모시고 ‘제51회 강진청자축제’에 대해 말씀을 나누려 합니다. 군수님 안녕하세요? 먼저 ‘51회 강진청자축제’가 ‘전국최우수축제’와 ‘대한민국 대표축제’를 거쳐 ‘대한민국 축제콘텐츠대상’을 받는 등 국내 축제로는 자타공인은 물론, 최고의 영예를 얻으셨습니다. 벌써 반 백년의 축제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시점에서 감회가 남다르실 것 같은데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강진을 얘기할 때, 청자를 빼놓을 수는 없습니다. 역시 고려청자를 논할 때 강진을 빼놓을 수도 없습니다. 강진청자축제는 50년 전인 1973년, ‘금릉문화제’로 시작되었습니다. 금릉은 강진의 옛 지명에서 따온 것으로, 96년에는 ‘청자문화제’로 이름을 바꿨다가, 2016년부터 44회째부터 ‘강진청자축제’로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강진 청자축제는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릴 만큼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축제로 이미 자리 잡았습니다. 고려청자는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사에서 가장 으뜸 중의 하나로 여겨집니다. 특히, 전세계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비색 상감 무늬의 오묘한 빛과 따라올 수 없는 기술은 전 인류의 문화유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대한민국의 국보,
혁진 김선일 / 시인. 작가. 칼럼니스트
혁진 김선일 /시인. 작가. 칼럼니스트